top of page

History of  Chosun art gallery

1971년 조선화랑 개관전

 

서양화 : 손응성, 김종하, 변시지, 박항섭, 박창돈, 최영림, 박석호, 홍종명.

동양화 : 이당 김은호, 소정 변관식, 청전 이상범, 소동 김정현, 풍곡 성재휴, 문징 권순임

1972년 조선화랑 개관 1주년 기념 기획전

"한국여류화가 14인 초대전"

 

이 전시가 계기가 되어 한국여류화가회가 탄생했다.

한국화단에서 여류화가들의 활동이 전무한 시기에 혜성처럼 탄생한 한국여류화가회는 현재 280명의 회원을 가진 우리나라 최고의 역사를 지닌 (사)한국여류화가협회로 발전했다. 또한 한국 화단의 활성화와 미술문화 발전을 위해 크나큰 기여를 하고 있다.

1972-73년 초대 개인전

 

하인두, 윤중식, 홍종명, 박석호, 최영림, 박창돈, 박근자, 원석연, 김훈,

일본작가 초대전-이요스 가이자, 스위스작가전

1976년 한국화랑협회 창립

 

조선화랑 개관한 지 5년째 되는 1976년에 5대 화랑(현대화랑, 명동화랑, 조선화랑, 진화랑, 동산방화랑)이 조선호텔에 모여 미술시장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뜻을 모았다.

그 후 다시 조선호텔에 모여 ‘한국화랑협회’를 창립했다.

 

제3대 화랑협회 회장(1981년)에 추대되어 독립된 화랑협회 사무실을 인사동 입구에 위치한 크라운제과 2층에 개설하고 사무국을 설치했다. 사무국장에는 허성 씨를 추대하고 본격적인 업무를 추진했다. 또한 회원 입회 및 징계 규정을 마련해 회원 간의 기강을 확립했다.

1979년 하인두 유고 전시

1982년 명동화랑 김문호 초대 회장 장례식

 

1982년 명동화랑 김문호 초대 회장 장례식을 화랑협회장으로 치루었다.

김문호 씨는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는 현대미술을 귀하게 여겨 오늘날의 현대미술 기반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 바 있다.

 

1994년 화랑미술제에 [명동화랑 추모 부스]를 설치하여 고인의 업적을 기리고, 화랑협회 공로상을 제정하여 고 김문호 명동화랑 회장 부인에게 추서하였다.

 

 

1983년 조선화랑 개관 10주년 국제교류전 시작

 

1983년 한불미술협회 창설 프랑스와 미술 교류를 시작하였다.

당시 프랑스에서 가장 첨단 미술 단체인 아르비방 작가들을 초대한  "L'ART VIVANT A PARIS" 서울 초대전을 주관하여 한불 교류의 첫발을 내딛었다.

 

국내로 초대한 작가와 임원 5명이 최초의 서울전을 개최해 우리 작가들에게 새로운 발전적 계기를 부여했으며 이 전시를 계기로 프랑스 한국 작가 15명을 소개하는 피에르가르뎅 화랑에서 초대전을 열어 한국 작가들이 파리에 진출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1984년 전업작가 육성을 위한 "작업실의 작가16인전" 기획

 

강연균, 권순철, 박용인, 박현규, 박진모, 손상기, 송용, 손장섭, 안병석, 유병엽, 이청운, 이태길,

임효, 임순애, 최쌍중, 장명규

1990년 손일봉 유작전

1991년 청담 전시장 개관

"조선화랑 개관 20주년 기념전"

1992 설치미술가 육근병의  카셀 도큐멘타 참가 후원

1992, 93 청담미술제

 

운영위원장으로 청담성당 앞 대로에서 92년 육근병의 퍼포먼스. 93년 무세중 퍼포먼스를 시작으로 우리나라 최초로 지역 미술제를 실시했다. 이는 지역 미술제의 효시가 되었다.

 2001년 삼성동 코엑스 조선화랑 개관

 

코엑스의 문화공간으로 조선화랑이 초대를 받고 전시 공간을 만들었다.

개관전으로 중앙대학교 첨단예술대학 원장으로 재직 중인 신용태 교수 초대전을 열었다. 그의 작업은 우리나라 고유의 문양을 현대적인 형태와 화려한 색상으로 표현한 ‘전통 문양의 현대화’를 완성한 훌륭한 작품 세계였다.

 2001년 삼성동 코엑스 조선화랑 개관전

"신용태 디지털 아트워크전" 

 

코엑스의 문화공간으로 조선화랑이 초대를 받고 전시 공간을 만들었다.

개관전으로 중앙대학교 첨단예술대학 원장으로 재직 중인 신용태 교수 초대전을 열었다.

그의 작업은 우리나라 고유의 문양을 현대적인 형태와 화려한 색상으로 표현한 ‘전통 문양의 현대화’를 완성한 훌륭한 작품 세계였다.

2001년 조선화랑 30주년 기념전

"70년대 회화 정신전"

 

김환기, 남관, 오지호, 박 항섭, 변종하. 최영림, 윤종식,

김흥수, 이대원, 문학진, 권옥연, 하인두

2001년 아름다운 환경 조형전

bottom of page